본문 바로가기
정보와 꿀팁/건강 관련 정보

수면중 입마름, 왜그럴까?

by ̱ 2022. 5. 2.

한 번쯤 또는 자주 자고 일어났을 때 입 안이 말라있는 것을 느끼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. 이는 단순히 불편한 것으로 끝이 아닌 신체에서 보내는 신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

 


잘 때 입으로 숨을 쉬나요?

혹시나 평소처럼 잘 잔 것 같은데 이상하게 입이 바짝 말라있는 느낌이 든다면 이는 입으로 호흡을 하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.

 

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 누구나 구강이 건조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이는 습관뿐만 아니라 코가 막히는 경우 발생하기도 하죠.

 

일시적인 경우라면 다행이지만 시간이 지나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이는 코골이로 이어지거나 심할 경우 수면 무호흡증으로 커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
노화로 인한 증상이다?

우리 몸은 시간이 지나면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이때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. 특히 80세 이상이신 분들 중 40%가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죠.

참고로 65세 이상의 경우 30% 정도가 이러한 경험을 하기 시작하는데, 그렇다고 본다면 비교적 흔한 증상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.

 

혹시나 어르신분들의 경우 약의 복용량이 늘어난 것은 아닌지도 체크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. 특정 약의 경우 이러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죠.

 


당뇨병으로 인한 입마름?

질환으로 인해서 수면중 입마름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 당뇨병의 경우에도 고혈당 수치로 일정할 경우 해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 

이는 탈수 증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. 또한 당뇨를 개선하기 위한 약을 복용하시는 경우에도 구강이 건조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 

혹시나 지속적으로 당뇨 수치를 관리하고 있으신 분들이라면 일시적인 증상일 수 있으며 앞으로도 잘 관리만 해주신다면 나아질 수 있으니 크게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.

 


흡연이나 음주를 즐기시나요?

혹시 본인이 흡연을 자주 즐기시거나 술자리를 자주 가지는 편은 아닌지 체크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.

 

음주의 경우에는 알코올이 산성으로 탈수를 일으키게 됩니다. 그 결과로 구강이 건조해지는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죠.

 

그리고 흡연의 경우 담배의 타액이 구강의 건강 밸런스를 해치기 때문에 이는 당연히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.

 

앞서 설명을 드려왔던 것처럼 수면중 입마름 증상이 있으시다면 나쁜 식습관 및 생활 패턴을 교정을 하시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무설탕을 고집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.

댓글